전세로 살던 임차인, 19억 아파트를 어떻게 낙찰받았을까?

들어가며

이번 주제는 전세로 살던 임차인 19억 아파트를 어떻게 낙찰받았을까? 입니다.

판교 영향권에 있는 분당의 한 고급 아파트.
감정가는 무려 19억 원, 시세는 16억에서 18억 원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이 아파트가 경매로 나왔고,
놀랍게도 전세 세입자였던 임차인이 이 집을 상상을 초월하는 가격에 낙찰받았습니다.

임차인의 낙찰가 보러가기

임차인의 낙찰가 보러가기

입찰자가 몰려야 할 물건인데… 왜 아무도 입찰하지 않았을까?

시세가 높은 인기 지역 아파트인데도,
입찰자들이 꺼리게 만든 결정적인 이유가 있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전세로 살던 임차인, 19억 아파트를 어떻게 낙찰받았을까
전세로 살던 임차인, 19억 아파트를 어떻게 낙찰받았을까?

이 임차인이 낙찰받기 위해서 사용한 전략은 무엇이었을까?

이 임차인은 자신의 보증금 정보를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전세로 살던 임차인, 19억 아파트를 어떻게 낙찰받았을까3
전세로 살던 임차인, 19억 아파트를 어떻게 낙찰받았을까?

그리고 자세한 임대차관계는 법원에 직접 밝히겠다고 함.

전세로 살던 임차인, 19억 아파트를 어떻게 낙찰받았을까1
전세로 살던 임차인, 19억 아파트를 어떻게 낙찰받았을까?
전세로 살던 임차인, 19억 아파트를 어떻게 낙찰받았을까2
전세로 살던 임차인, 19억 아파트를 어떻게 낙찰받았을까?
  • 법원에만 전세보증금을 제출하고
  • 배당신청도 하지 않았으며
  • 매각물건명세서에도 권리 정보가 제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한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입찰자 입장에서는
“혹시 이 임차인이 대항력 있는 세입자인가?”,
“보증금이 얼마인지 모르니 낙찰받아도 인수해야 하는 것 아냐?”
라는 불확실한 리스크를 떠안아야 합니다.

결과적으로, 입찰자는 입찰을 포기하거나 낮은 금액만 써내게 되죠.
그리고 아무도 입찰하지 않으면?
그 물건은 최저가로 낙찰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실제 낙찰가는 얼마였을까?

이 임차인은 결국 감정가 19억 원짜리 아파트를 약 OOO원에 낙찰받았습니다.
(※ 정확한 낙찰가와 경매 사건번호는 아래 버튼 링크로 정리해두었습니다.)

임차인의 낙찰가 보러가기

이건 단순한 행운이 아니라,
법을 잘 이해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한 사례입니다.

요약 – 임차인이 집을 낙찰받은 3단계 전략

보증금 정보 비공개 – 법원 외에는 공개하지 않음

배당신청 생략 – 권리관계 명확하지 않게 함

정보를 감춘 채 조용히 입찰 참여 – 다른 입찰자 배제 유도

마치며

실제로 임차인이 저가로 낙찰받았는지 여부는 임차인의 보증금에 달려있습니다.

필자가 추측해보건대 아마도 당시 전세가 7억원~10억원 사이가 아니였을까?? 하는 조심스런 추측을 해봅니다.

경매 시장은 정보 싸움입니다.
이 사례처럼 법과 시스템을 이해하면
소액으로도 고가의 자산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죠.

👉 앞으로도 이런 실전 사례경매 전략을 계속 정리해드릴 테니
블로그 즐겨찾기 해두시고, 애드센스 광고도 한 번씩 눌러주시면 좋은글을 적는데 큰 힘이 됩니다 🙂

댓글 남기기

Leave a Comment